C 자료구조&알고리즘
선택정렬 (Selection Sort)
제이지연
2023. 4. 5. 01:46
선택정렬
선택정렬 :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에서 최소값을 선택하여 정렬된 부분의 마지막에 추가하는 알고리즘
- In-place 알고리즘
- Stable sort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|
#include <stdio.h>
void selectionSort(int arr[], int n) {
int i, j, min_idx;
for (i = 0; i < n-1; i++) {
min_idx = i;
for (j = i+1; j < n; j++) {
if (arr[j] < arr[min_idx]) {
min_idx = j;
}
}
int temp = arr[min_idx];
arr[min_idx] = arr[i];
arr[i] = temp;
}
}
int main() {
int arr[] = {64, 25, 12, 22, 11};
int n = sizeof(arr)/sizeof(arr[0]);
selectionSort(arr, n);
printf("Sorted array: ");
for (int i=0; i < n; i++) {
printf("%d ", arr[i]);
}
return 0;
}
|
cs |
선택정렬의 시간복잡도
시간복잡도 분석 : $$ O(n^2) $$
리스트의 크기가 n일 때... (레코트 갯수가 n개 일때)
1. for 루프 반복 횟수 : 외부 for문 : n-1번 / 내부 for문 : n-i-1번
1
2
3
4
5
6
7
|
for (i = 0; i < n-1; i++) {
min_idx = i;
for (j = i+1; j < n; j++) {
...
}
...
}
|
cs |
2. 비교 연산 횟수 : $$ (n-1) + (n-2) + (n-3) + ... + 1 = n(n-1)/2 = O(n^2) $$
3. 이동 횟수 : $$ 3(n-1) $$
장/단점
장점 : 자료의 이동횟수가 미리 결정된다. [but 이동횟수가 큰편] -> 시간복잡도가 일정하다.
단점 : 자료가 정렬된 경우에 불필요하게 자기 자신과의 이동이 있다 (unstable) -> if(min_idx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|
int* selection_sort(int *list, int n){
int i, j, least, tmp;
for(i=0;i<n-1;i++){
least = i; //제일 작은 레코드가 담겨있는 인덱스
for(j=i+1;j<n;j++){
if(list[j]<list[least]) least=j;
}
if(i != least) SWAP(list[i],list[least],tmp);
}
return *list;
}
|
cs |